티스토리 뷰

spring

day3 class01~02 model1 아키텍처로 게시판 개발

일상다반ㅅㅏ 2019. 1. 16. 21:55

- model1과 model2에 대한 설명은 jsp 게시판 참고

- 자바에서 Bean이라는 용어는 객체를 의미하므로 JavaBean하면 자바 객체를 의미한다. JavaBeans는 디비 연동에 사용되는 자바 객체들이다.

- VO, DAO 클래스가 Model 기능의 자바 객체다.


- jsp파일은 src/main/webapp에 생성한다.


1. 로그인 기능 구현

- 프로젝트를 서버로 구동 시 url은 http://localhost:8080/biz/login.jsp로 설정되는데 서버 설정 modules탭에서 path를 BoardWeb로 변경해준다.

- 로그인 결과에 따라 화면 내비게이션을 리다이렉트 방식으로 사용한다.


1-1. 포워드(forward)와 리다이렉트(redirect) 차이

포워드 방식

- RequestDispatcher를 이용하여 응답으로 사용할 jsp 화면으로 넘겨, 포워드 된 화면이 클라이언트에 전송되는 방식이다.

- 한번의 요청과 응답으로 처리되므로 실행 속도는 빠르지만, 클라이언트 브라우저에서 URL이 바뀌지 않아 응답이 어디에서 들어왔는지 확인 할 수 없다.


리다이렉트 방식

- 요청된 jsp에서 일단 브라우저로 응답 메시지를 보냇다가 다시 서보로 재용청하는 방식이다.

- 응답이 들어온 파일로 브라우저의 URL이 변경되지만, 두 번의 요청과 응답으로 처리되므로 실행 속도는 포워드 방식보다 느리다.




2. 글 목록 검색 기능 구현

- 크게 특별한 소스는 없는 듯 하다.


3. 글 상세 기능 구현


4. 글 등록기능 구현

- 작성자까지 입력이 가능하다니... 정말 실습용이네;;

- 글 등록 로직에선 setCharacterEncoding("EUC-KR")을 이용하여 가장 먼저 인코딩 관련 설정을 해준다.


5. 글 수정 기능 구현


6. 글 삭제 기능 구현


7. 로그아웃 기능 구현

- 세션과 관련된 작업을 처리향 하지만 연관된 세션만을 종료하고 다음에 자세한 로그아웃을 구현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