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spring

day1 class01 스프링 프레임워크 시작하기

일상다반ㅅㅏ 2018. 12. 10. 22:21

1. 개발환경 구축


1-1 jdk를 기존 1.7에서 교재에 맞춰 1.8로 변경 

(java was started but returned exit code=13 로 이클립스 실행 안될 때)

이클립스 실행파일이 있는 폴더에서 eclipse.ini파일을 연다.

--launcher.appendVmargs

<<<< -vm

    [jdk설치경로]\bin\javaw.exe

-vmargs

위와 같이 넣어 주면 된다.


1-2 데이터베이스

H2 데이터베이스 사용 이유

: 별도의 설치 과정도 필요 없고 용량도 가볍다.


1-3 STS(Spring Tool Suite) 플러그인 설치

현재 이클립스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sts 플러그인이 검색되지 않는다.

Spring Tools 3 Add-On (aka Spring Tool Suite 3)라는 플러그인이 있긴하다.

찾아보니 이클립스처럼 STS가 실행파일로 나와있어서 이것을 사용하기로 했다.


2. 실습 프로젝트 생성

new > spring legacy project > project name 입력 > templates : spring MVC project > next > top-level package : "com.springbook.biz" > finish > 프로젝트 생성


2-1 프로젝트 설정 변경

project 우클릭 > properties > project facets > java : 1.8 

 > runtimes : apache tomcat v8.0

  > java build path > libraries > 톰캣 및 자바 버전 확인


src/main/resources에서 log4j.xml 제외한 나머지 삭제 

src/main/webapp/WEB-INF에서 spring, view 폴더 삭제

일단 삭제...

src/main/webapp/WEB-INF/web.xml에서 <web-app> 루트 엘리먼트(~~~.xsd> 까지)를 제외한 나머지 설정 모두 삭제


pom.xml에서 <org.springframework-version>태그에 스프링 최신버전 입력

현재 5버전도 있지만 교재에 맞춰 4.2.4로 입력했다.

boardweb > java resources > libraries > mavendependencies에서 스프링 라이브러리 버전이 일괄적으로 변경된다.

'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day1 class05 어노테이션 기반 설정  (0) 2018.12.22
day1 class04 의존성 주입  (0) 2018.12.22
day1 class03 스프링 컨테이너 및 설정 파일  (0) 2018.12.16
day1 class02 프레임워크  (0) 2018.12.15
spring 스터디 시작  (0) 2018.12.10